혁신의 시야를 넓혀라 | |||||||||
신제품 개발외 공급망ㆍ네트워크등 | |||||||||
◆Biz Trend / 경영혁신으로 가는 길◆
MIT의 슬로언 매니지먼트 리뷰는 '기업혁신의 12가지 방법(모힌비어 소니ㆍ 로버트 월콧ㆍ 이니고 애로니즈, 2006년 봄호)'에서 혁신에 대한 좁은 시야는 기업의 눈을 멀게 한다며 넓은 혁신사고를 강조했다. 예컨대 스타벅스는 직장과 가정 사이에 '제3의 공간'을 창출해 커피 한 잔을 5000원에 팔 수 있었다. 델은 경쟁사가 기술개발에 치중한 것과 달리 직접판매 방식을 도입했다. 구글이 큰 수익을 올린 것은 뛰어난 검색엔진 외에 '검색광고'라는 새로운 수익원을 개척했기 때문이다. 기업 혁신은 크게 세 가지 특징을 지녀야 한다. 첫째, 기업 혁신은 고객을 위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때 의미가 있다. 고화질TV(HDTV)는 시장을 지배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녹화기술 전송방법 주파수 등의 문제로 인해 고화질 방송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태다. 결국 고화질TV는 아직 아무런 가치가 없는 '기술혁신'에 불과하다. 둘째, 기업의 혁신 방법은 다양하다. 홈디포는 'DIY(Do It Yourself)족'이라는 고객을 만들어냈다. 시스코는 이틀마다 결산을 하는 실시간 결산시스템으로 비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셋째, 기업의 혁신은 체계적이므로 모든 측면을 세심하게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예컨대 아무리 제품이 좋아도 유통채널이 빈약하면 실패한다. 슬로언 매니지먼트 리뷰는 성공기업을 조사한 결과 '혁신레이더'라는 도구를 만들 수 있었다고 소개했다. 혁신 레이더는 네 가지 핵심 분야인 제품 고객 프로세스 판매장소의 축을 중심으로 각 축의 사이마다 2개씩의 분야를 더해 총 12개 분야로 이루어진다. 12개 부문을 꼽으면 △제품 △플랫폼('공통성의 힘'을 이용해 다양한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공정법이나 기술을 혁신) △솔루션(제품 서비스 정보를 조합해 고객 문제를 해결) △고객혁신(새로운 고객층을 찾아내거나 밝혀지지 않은 욕구의 발견) △고객경험(기업과 고객 사이의 접점에 대해 다시 생각) △가치포착(눈에 잘 보이지 않는 가치 포착)을 들 수 있다. 또 △프로세스(기업 운영의 구성과 배치 혁신) △조직(역할이나 책임 인센티브 등을 재정의) △공급망(정보의 흐름을 능률적으로 변경하거나 구조를 변경하고 협력을 강화) △판매장소(새로운 곳을 만들거나 기존 장소를 창의적으로 활용) △네트워킹(제품과 서비스를 고객과 연결) △브랜드(창의적으로 브랜드를 이용하거나 확장) 등도 해당한다. 전통적으로 기업의 혁신 전략은 대부분 관성적이거나 전통에 얽매여 있었다. 기업은 지금까지 소외됐던 요소에 관심을 돌려 새로운 경쟁력 기반을 창출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12개 부문에서 각각 혁신을 추구해도 좋지만 혼합하면 더 큰 가치가 창출된다. 출처-매일경제 |
'성공 > 기업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수 기업의 5가지 조건은? (0) | 2008.05.14 |
---|---|
매출 집착말고 親환경 기업이미지 심어라 (0) | 2008.05.14 |
혁신막는 낡은 경영원칙은 과감히 버려야 (0) | 2008.05.13 |
약점 보완해줄 조력자 네트워크 만들라 (0) | 2008.05.13 |
7가지 경영 진단 리스트 - 매경 Biz Trend (0) | 2008.05.13 |